한국모바일 슬롯산업협회 주관 ‘AI 역량강화 모바일 슬롯 교육’ 참가자 모집…모바일 슬롯산업 전문인력의 실질적 역량 강화 기대

생성형 AI 기반 휴머노이드 모바일 슬롯 개발 교육 및 현장수요 기반 재직자 무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는 로봇기업이 필요로 하는 핵심인재를 육성하는 커리큘럼 ‘AI 역량강화 로봇 교육’을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으로 추진된 교육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관리를 맡았다. 한국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며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가 참여한다.
특히 올해는 교육생이 풍부한 현장 실습 경험을 쌓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재직자 훈련과정을 오프라인으로 실시한다. ‘생성형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등 로봇산업 현장이 요구하는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교육비는 전액 무료로 비용 부담이 전혀 없어, 수강생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참가 신청은 로봇캠퍼스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로봇캠퍼스는 한국로봇산업협회에서 운영하는 로봇교육 전문 홈페이지로, 다채로운 커리큘럼을 보유하고 있다.
로봇산업 리더를 대상으로 한 ‘로봇, AI 그리고 미래 : 혁신의 경계를 넘다’ 교육과정은 서울대 평생교육원과 연계해 진행한다. C레벨 이상 로봇산업 재직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AI·로봇 기술 및 연구 동향 교육을 받고 연구실 견학 기회가 주어진다. 오는 8월에 1차, 10월에 2차 교육이 실시되며 장소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다.
재직자 과정은 모바일 슬롯기업의 수요가 가장 많은 분야에 맞춰 6개의 커리큘럼이 개설됐다.
‘딥러닝 기반 머신비전 활용 자율제조 실무’ 과정은 AI 비전(2D 카메라) 활용 객체 검출 기반 협동로봇 픽앤 플레이스 실무 교육으로 구성된다. ▲고급 명령어(흐름제어, 힘제어 등)를 활용한 협동로봇 제어 프로그래밍 ▲파이썬(Python)을 활용한 협동로봇 실시간 원격 제어 프로그래밍 ▲딥러닝 알고리즘(YOLO)을 활용한 학습 기반 영상 처리 ▲협동로봇과 AI 비전 연동을 통한 자동화 공정 최적화 구현을 배울 수 있다. 1차 교육은 8월 13일부터, 2차는 11월 5일부터 시작되며 장소는 유니버설 로봇 에이에스 본사다.
‘인공지능 및 다기종 로봇 활용 스마트 물류 관제 시스템’ 과정은 주행로봇과 다관절로봇 등 다수의 로봇을 활용한 물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으로 이뤄져 있다. ▲물류 시스템 제어를 위한 ROS 기반 환경 구축 및 운영 시스템 ▲주행로봇과 다관절로봇의 운영·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패키지 ▲AI 기술을 활용한 물류 시스템의 통합 관제시스템 구현 방식을 익힐 수 있다. 1차 교육은 8월 19일부터, 2차는 10월 20일부터 시작되며 장소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 ICT·로봇 리빙랩이다.
‘인공지능 학습 기반 비정형 (디)팔레타이징 과정’은 산업용 로봇과 딥러닝을 활용한 비정형 객체 이송 자동화 교육으로 꾸며진다. ▲3D 비전에 적용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YOLO, SAM[Segment Anything Model]),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ROS 환경 속 로봇 실습 장비 구현을 위한 URDF(Unified Robot Description Format) 개발 및 실제 로봇 실습 장비와 동기화 ▲비정형 객체 인식 기반 로봇 자세 생성 및 파지 ▲객체의 형상 및 크기별 적재 자동화 공정 구현을 목표로 교육한다. 1차 교육은 9월 8일부터, 2차는 11월 17일부터 시작되며 장소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로봇직업혁신센터다.
‘멀티모달 센서 융합 기반 객체 회피형 다관절 로봇 제어’ 과정은 2D 및 3D 비전과 측위 센서를 촬용한 AI 학습 기반 실시간 장애물 회피가 가능한 이기종 로봇 제어 교육을 배운다. ▲ROS 활용 이기종 로봇(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혼합) 제어 및 시뮬레이션 ▲로봇 역기구학 해석을 통한 이기종 로봇 제어 프로그램 구현 ▲비전 시스템을 활용한 로봇 작업환경의 장애 요소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장애물 형상 및 위치 데이터 습득 및 로봇 이동 경로 최적화 ▲실제 로봇 적용을 통한 이기종 로봇의 장애물 회피형 동기 모션 구현을 다룬다. 1차 교육은 11월 3일부터, 2차는 11월 17일부터 시작되며 장소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로봇직업혁신센터다.
‘생성형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과정’은 생성형 AI 기반 인간-로봇 상호작용, 자율제조 등 수행을 통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뮬레이션 습득을 목표로 한다. ▲ROS 활용 휴머노이드 로봇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휴머노이드 로봇의 구조 및 오퍼레이팅 기술 이해 및 실습 ▲강화학습, 딥러닝 등 생성형 AI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이해 및 실습 ▲미래 산업 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로봇 기술의 발전 방향을 가르친다. 1차 교육은 9월 8일부터, 2차는 10월 22일부터 시작되며 장소는 LS엠트론타워다.
‘지능형 로봇제어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다중센서 활용’ 과정은 로봇 제어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기술 및 다중 센서에 관련된 이론과 실습 교육으로 구성된다. ▲지능형 로봇과 관련된 대표적인 문제에 관한 사례 및 해결 실습 ▲머신러닝 알고리즘 소개 및 적용 ▲지능형 로봇을 위한 카메라, 라이더, IMU 센서 구조 및 이론, 센서 데이터 전처리 ▲머신러닝 기반 센서 융합 및 활용을 교육한다. 1차 교육은 이달 18일에 종료됐고 2차는 오는 21일부터, 3차는 9월 중순 이후 시작되며 장소는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다.
이외에도 실시간 온라인 줌으로 ‘AI융합전문가 과정 : 로보틱스 구현을 위한 센서/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기본’ 교육이 실시된다.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로봇 개발자 또는 관련 중급 이상의 전공자가 참여하는 교육으로 로보틱스 구현을 위한 지능형 로봇 기본이론과 센서, 액추에이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활용을 배운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로봇과 관련된 대표적인 문제에 관한 사례 및 해결 ▲로봇 기구학에 대한 이해 및 로봇 시뮬레이션 센서 활용 실습 ▲로봇 비전 이론 및 비전 시뮬레이션 시스템 활용 실습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적용을 다룬다.
한국로봇산업협회 관계자는 “‘AI 역량강화 로봇교육’은 빠르게 변화하는 로봇기술에 대응하는 리더 교육과 재직자 교육, 응용력을 높여주는 AI융합전문가 교육으로 구성했다. 실무에 최적화된 실습 위주로 기획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교육이 우리나라 로봇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주도하는 인재 발굴의 요람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