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꽁 머니ㆍ방위산업진흥회 등 유관기관ㆍ기업 전문가 모여 국방로봇 발전방향 모색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방 및 로봇기업인들이 모여 결성한 한국로봇산업협회 국방로봇협의회 창립총회 및 창립기념 국방로봇포럼 행사가 28일 오전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국방부 박동걸 유무인복합체계 과장, 한국로봇산업협회 김진오 회장,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최병로 상근 부회장,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 국방로봇협의회 박용운 회장을 비롯해 80여개 기업, 20여 기관 등에서 200여명이 참석하였다.

김용현 국방부장관은 영상 축사에서 "인구절벽에 따른 병역자원 감소의 문제와 첨단과학기술 접목의 질적군대로의 체질개선의 시급성을 지적하면서 AI기반 무인전투체계를 갖춘 과학기술강군의 건설을 위해 국방로봇협의회같은 민간단체의 출범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국방로봇협의회를 통해서 발전한 로봇의 역할을 최대한 활용토록 지원하고, 국방사회 전체가 최첨단 로봇 강화 국방력으로 점프할 수 있도록 최고의 노력을 다짐하겠다고 언급했다.

최병로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병력 감소의 심각성을 지적하면서 국방로봇이 부족한 인적 자원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국방력을 보장할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이라며, "앞으로 국방로봇협의회를 통해 국방로봇 기술과 방위산업 발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은 축사를 통해 "내년 초 트럼프 2기가 들어서면서 국내 산업에 전반적으로 위기가 오겠지만 위기가 곧 기회라고 국방, 조선, 항공, 우주, 방산에 로봇이 투입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며, "국방 분야에서 로봇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회를 잡아가자"고 강조했다.
이 날 포럼에 앞서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양 주관기관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국방로봇분야 중장기 국가 R&D 정책제언, 국방로봇 생태계조성 및 분야 부품산업육성과 규제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3자 공동 MOU 체결식을 체결하였다.

이어서 열린 국방로봇포럼에서는 6명의 전문가가 나와 주제 발표를 했다.

먼저 한국로봇산업협회 김진오 회장이 “국가로봇현황 및 발전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회장은 글로벌 로봇시장 현황과 로봇과 함께 하는 국방 로봇 발전 방향, 그리고 국방로봇협의회 추진 방향에 대해 강연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임태범 본부장은 “국방로봇 부품/SW 생태계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임 본부장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기관 소개 및 주요 연구 분야, 국방분야용 로봇과 부품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 강연했다.
유재관 LIG넥스원 소장은 “유무인복합체계 통합지휘통제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유 소장은 다양한 무인체계 기술 개발 현황과 AI 기반 통합 지휘통제 개발, 무인체계 관련 표준 등에 대해 발표했다.

다음으로 박매훈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센터장이 “지상 무인체계 R&D 가속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센터장은 지상 무인체계 동향과 국내 개발 현황 및 지상무인체계 가속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김석환 현대로템 실장은 “국방·민수산업 협력기반 국방로봇 발전뱡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실장은 미래 전투 환경의 변화, 국방로봇산업 발전 방향, 국방 민수개발 협력사례로 물류 및 소방로봇, 무인테러 작전용 4족 보행 로봇에 대해 설명했다.

마지막 발표자로 한국로봇산업협회 국방로봇협의회 박용운 회장은 “국방로봇 발전방향 및 협의회 추진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회장은 국방로봇 발전 방향, 협의회 추진 전략, 소요식별 4대 중점 전략 및 전투 효과 극대화에 대해 강연했다. 박 회장은 향후 협의회 추진전략으로 가상테스트 베드 등 3대 생태계 조성, 인구위기 등 3대 긴급위기 대응, 부처별 통합 로드맵 작성 등 3대 기획/정책 동기화 및 전투실험 연구소 설립 등 3대 발전환경 구축 전략을 발표하였다.

주제 발표 후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 고경철 부회장이 좌장을 맡아,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임태범 본부장, 현대로템 김석환 실장, 한국국방기술학회 박영욱 이사장, 국방로봇협의회 박용운 회장,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박매훈 센터장, LIG넥스원 유재관 소장이 참석해 30여분 간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패널 토론에서는 국방로봇협의회의 향후 발전 방향과 협의회 추진 관련 기업과 기관의 요청 사항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